반응형

1.Teslausb 다운로드

https://github.com/marcone/teslausb

현재 최신버전 Teslausb-20201211.zip파일 다운로드

https://github.com/marcone/teslausb/releases/tag/v2.5

 

 

2.Etcher 다운로드 및 설치

https://www.balena.io/etcher/

 

3.SMB teslausb conf 파일(teslausb_setup_variables.conf) 다운로드 

https://github.com/dasonwong/teslausb_variables

 

4.1번 파일(teslausb)을 더블클릭하여 마운트 시킨다. boot 드라이브에 3번파일을 복사한다.

 

5.SMB teslausb conf 파일에서 와이파이 접속 정보를 설정한다.

라즈베리파이 제로 W는 2.4Ghz 와이파이만 지원된다.

export SSID='netcanis'

export WIFIPASS='123456'

 

6.SMB teslausb conf 파일에서 와이파이 AP 접속 정보를 설정하고 저장.

비밀번호는 8자 이상이어야 한다.

export AP_SSID='teslausb'

export AP_PASS='12345678'

 

 

7.micro sd카드를 아답터에 삽입하여 컴퓨터에 연결한다.

 

8.balenaEtcher 실행하여 1번파일을 선택한다.

 

9.usb메모리 드라이브 선택하고 'Flash'버튼을 선택하여 라이팅한다.

 

10.완료되면 usb드라이브 제거후 microsd카드를 빼서 라즈베리파이에 넣는다.

11.iPhone 설정에서 핫스팟을 켜준다.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1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2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3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4

2021.08.10 - [Tesla] - Rclone 설정 (Google Drive에 TeslaCam 파일 업로드) - Step 1

2021.08.10 - [Tesla] - Rclone 설정 (Google Drive에 TeslaCam 파일 업로드) - Step 2

2021.08.10 - [Tesla] - Rclone 설정 (Google Drive에 TeslaCam 파일 업로드) - Step 3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SKY STORY

,
반응형

15.패스워드를 변경해 준다.

pi@teslausb:~ $ passwd

Changing password for pi.

Current password: [현재 패스워드 입력]

New password: [새로운 패스워드 입력]

Retype new password: [새로운 패스워드 재입력]

#passwd: password updated successfully

 

16.설정이 완료(약 10분)되면 자동 리부팅되며 이재부터는 부팅시 화면에 출력되는 내용은 없다.

17.라즈베리파이가 정상동작되는지 확인하려면 전원을 컴퓨터 USB단자에 연결했을 때 

라즈베리파이가 USB드라이브로 연결되고 'TeslaCam'폴더가 생성되어 있다면 성공이다.

 

17.재부팅 이후 휴대폰으로 와이파이 ‘teslausb’에 접속한다. (설정한 WiFi AP SSID로 접속)

18.앱스토어에서 'Cam Viewer for Tesla'앱을 다운로드 받아 실행하여 저장된 영상을 확인한다.

 

Cam Viewer for Tesla

https://apps.apple.com/us/app/cam-viewer-for-tesla/id1476197999

 

‎Cam Viewer for Tesla

‎Introducing Cam Viewer App with Tesla Software v10 Support You can now view your Tesla captured video directly on your iOS device. Note: to access a USB drive on your device requires iOS 13 AND the Lightning to USB 3 Camera Adapter. Plug in power to the

apps.apple.com

 

Documents:Files, PDF, Browser  (SMB 폴더 브라우징)

https://apps.apple.com/us/app/documents-files-pdf-browser/id364901807

 

‎Documents: Files, PDF, Browser

‎A central hub for all your files. Read, listen, view, annotate almost anything you want on your iPad and iPhone. Files, documents, books, any content is at home in Documents by Readdle. It’s the Finder for iOS you’ve always wanted. App Store Editors

apps.apple.com

 

https://apps.apple.com/us/app/sentry-dashcam-for-teslas/id1514151653

 

‎Sentry DashCam for Teslas

‎Introducing the simplest, and most hassle-free way to download, watch, and share your Tesla Sentry and DashCam Videos. Now with wireless support for Raspberry Pi 4 and Raspberry Pi Zero W(beta), Tesla Sentry DashCam is the simplest, and most hassle-free

apps.apple.com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1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2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3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4

2021.08.10 - [Tesla] - Rclone 설정 (Google Drive에 TeslaCam 파일 업로드) - Step 1

2021.08.10 - [Tesla] - Rclone 설정 (Google Drive에 TeslaCam 파일 업로드) - Step 2

2021.08.10 - [Tesla] - Rclone 설정 (Google Drive에 TeslaCam 파일 업로드) - Step 3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SKY STORY

,
반응형

[ 라즈베리 파이에 사용할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가 있을 경우 ]

12.라즈베리파이에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를 연결한 후 전원을 연결한다.

13.휴대폰의 개인용 핫스팟에 라즈베리 파이가 연결되는지 확인한다. (좌상단 시계가 파란색으로 변하면 연결완료)

14.첫로그인  계정은 pi / raspberry 이다.

 

 

[ 라즈베리 파이에 사용할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가  없을 경우 ]

12.사용자 컴퓨터도 휴대폰 핫스팟에 연결한다. 

13.mac컴퓨터 콘솔을 실행하여 ssh접속한다.

ssh pi@teslausb.local

yes입력

 

14.첫로그인 시 계정은 pi / raspberry 이다.

 

14-1.파일목록 보기

 

14-2.설정 로그 보기

 

14-3.설치가 완료되면 업그레이드를 한다.

sudo -I

bin/setup-teslausb upgrade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1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2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3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4

2021.08.10 - [Tesla] - Rclone 설정 (Google Drive에 TeslaCam 파일 업로드) - Step 1

2021.08.10 - [Tesla] - Rclone 설정 (Google Drive에 TeslaCam 파일 업로드) - Step 2

2021.08.10 - [Tesla] - Rclone 설정 (Google Drive에 TeslaCam 파일 업로드) - Step 3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SKY STORY

,
반응형

 
TeslaCam 비디오를 보려면 차량에 탑승하여 뷰어를 통해서  볼 수 있다.
개발자(들)에 의해 Raspberry pi를 이용하여 가상 드라이브를 생성하고 해당 폴더를 WiFi를 통해 공유하는 방법을 Github를 통해 공개하였고 많은 테슬라 오너들이 애용하고 있다.
 
해당 방법은 컴퓨터를 잘 모르는 사람들의 경우 굉장히 어렵게 
느껴질 수 있음으로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자세히 방법을 소개하도록 하겠다.
 
준비물은 다음과 같다.
 
준비물 :

  • Raspberry pi Zero W (라즈베리 파이 제로 W) https://amzn.to/3A8Awa3
  • micro sd card 128G 이상
  • iPhone
  • Mac컴퓨터
  • 라즈베리파이 사용을 위한 모니터,키보드,마우스 

 
 
teslausb의 작동 방법 이해 :
라즈베리파이가 구동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핫스팟 WiFi에 접속을 한다. 라즈베리 파이가
USB 드라이브처럼 가상 드라이브를 생성하여 Tesla는 접속된 라즈베리파이를 
USB 드라이브로 인식하게 되며 영상을 저장하게 된다. 또한 WIFI AP가 활성화되어 
설정된 와이파이 네트워크(SMB)에 접속하면 저장된 영상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1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2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3
2021.08.09 - [Tesla] - Teslausb를 사용하여 TeslaCam 비디오를 무선으로 보기 - Step 4
2021.08.10 - [Tesla] - Rclone 설정 (Google Drive에 TeslaCam 파일 업로드) - Step 1
2021.08.10 - [Tesla] - Rclone 설정 (Google Drive에 TeslaCam 파일 업로드) - Step 2
2021.08.10 - [Tesla] - Rclone 설정 (Google Drive에 TeslaCam 파일 업로드) - Step 3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SKY STORY

,
반응형

도어락 Rfid 복제 테스트

 

1.rfid 정보 읽기

hf search

 

2.필요한 키 찾기

hf mf chk *1 ? t

 

3.모든 키 정보를 찾아내고 덤프파일 생성한다.

hf mf nested 1 0 A ffffffffffff d

 

4.홈 디렉토리에 ‘dumpkeys.bin’파일이 생성된다.

 

5.rfid내용 덤프

hf mf dump

... 중간 생략 ...

 

6.홈 디렉토리에 ‘dumpdata.bin’파일이 생성된다.

 

7.올려놓았던 원본 카드를 제거하고 복사할 공rfid카드를 올려놓는다.

 

8.원본 카드의 UID값으로 설정한다.

hf mf csetuid xxxxxxxx

 

9.복사할 카드에 원본데이터로 복원한다. (복제)

hf mf restore 1

... 중간 생략...

 

10.복제 완료.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RFID Tool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1/4)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2/4)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3/4)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4/4)

 

반응형

'IOT > Proxmark3'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3/4)  (0) 2021.02.08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2/4)  (0) 2021.02.08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1/4)  (0) 2021.02.08
Proxmark3 RFID Tool  (0) 2021.02.08
블로그 이미지

SKY STORY

,
반응형

Testing

 

1. USB 연결을 해제한 뒤 다시 재 접속을 한다. (연결이 안되면 재부팅 후 재시도)

 

2.USB연결 기기정보 확인

system_profiler SPUSBDataType

... 중간 생략 ...

 

3.proxmark3 시작

/usr/local/Cellar/proxmark3/3.1.0/bin/proxmark3 /dev/cu.usbmodem146224101

 

4.명령어 목록 확인

help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RFID Tool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1/4)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2/4)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3/4)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4/4)

 

반응형

'IOT > Proxmark3'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4/4)  (1) 2021.02.08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2/4)  (0) 2021.02.08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1/4)  (0) 2021.02.08
Proxmark3 RFID Tool  (0) 2021.02.08
블로그 이미지

SKY STORY

,
반응형

Update

 

1.설치 디렉토리 이동

cd /usr/local/Cellar/proxmark3/3.1.0

or

cd /opt/homebrew/Cellar/proxmark3/3.1.0

 

2. 파일 목록 확인

ls -la

 

3.디바이스 연결 확인

ls /dev/cu*

or

좌측 Button을 누른 상태로 USB를 재연결 한다. 약 5초뒤 기기가 연결된다. 계속 누른상태는 유지한다.

이후 조회하면 아래와 같이 ‘/dev/cu.usbmodem146224101’라는 장치가 추가 됬음을 알 수 있다.

 

4.Flash the Bootrom

bootrom을 업그레이드 한다.

./bin/proxmark3-flasher /dev/cu.usbmodem146224101 -b ./share/firmware/bootrom.elf

or

./bin/proxmark3-flasher /dev/cu.usbmodem114301 -b ./share/firmware/bootrom.elf

 

5.Update the Firmware(FPGA and OS)

펌웨어 (FPGA와 OS) 업데이트

./bin/proxmark3-flasher /dev/cu.usbmodem146224101 ./share/firmware/fullimage.elf

or

./bin/proxmark3-flasher /dev/cu.usbmodem114301 ./share/firmware/fullimage.elf

 

6.설치 완료.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RFID Tool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1/4)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2/4)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3/4)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4/4)

 

반응형

'IOT > Proxmark3'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4/4)  (1) 2021.02.08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3/4)  (0) 2021.02.08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1/4)  (0) 2021.02.08
Proxmark3 RFID Tool  (0) 2021.02.08
블로그 이미지

SKY STORY

,
반응형

Mac 환경에서 개발환경 구축 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테스트된 운영체제 환경은 다음과 같다.

macOS Big Sur Version 11.2

 

Tap and Build

1. homebrew 설치 

http://brew.sh/

 

2.Mac Ports 설치

https://www.macports.org/install.php

 

3. Tap proxmark repo

brew tap proxmark/proxmark3

 

4. Install Proxmark3

안정 버전 :

brew install proxmark3

최신 버전(비 안정 버전) :

brew install --HEAD proxmark3

… 중간생략 …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RFID Tool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1/4)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2/4)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3/4)

2021/02/08 - [Proxmark3] -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4/4)

반응형

'IOT > Proxmark3'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4/4)  (1) 2021.02.08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3/4)  (0) 2021.02.08
Proxmark3 V5 개발환경 구축 (2/4)  (0) 2021.02.08
Proxmark3 RFID Tool  (0) 2021.02.08
블로그 이미지

SKY 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