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한국은 미국으로부터 경제·안보 전방위 압박에 직면해 있습니다. 미국은 반도체·배터리·조선·원전 등 전략산업에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요구하며, 이를 수용하지 않으면 25% 관세 부과를 거론합니다. 하지만 이 같은 대규모 해외 투자에는 달러 수요 증가, 원화 약세, 외환시장 불안이라는 위험이 뒤따릅니다. 따라서 한국은 달러 스와프 같은 안전장치 확보 없이는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압박은 경제를 넘어 국방·안보로도 확산됩니다.

 

  •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
  • 주한미군 철수 가능성을 협상 카드로 활용,
  • 기지 반환·환경정화 비용 부담 확대,
  • 핵잠수함 등 군사 기술 협력 논의,
  • 원전 관련 규제 및 협력 구조 문제.
  • 미국은 동맹이라는 명분 속에서 비용과 의무를 한국에 전가하는 동시에, 전략적 이익은 자국에 집중하려 합니다.

 

그렇다고 한국이 무조건 약자는 아닙니다. 한국은 세계 조선업 1위, 반도체·배터리 핵심 공급망, 외환시장 안정 협력 필요성, 방위 협력의 필수 파트너라는 강력한 카드를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조건 없는 양보가 아니라 조건부 협력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 조선업: LNG선·친환경 선박을 지렛대로 관세 철회와 금융 지원 요구.
  • 반도체·배터리: 투자 속도 조절, 세액공제·보조금·장기계약 확보.
  • 외환: 무제한 스와프가 아니더라도 위기 시 자동 발동형 협정 추진.
  • 국방: 방위비 인상 시 원전 규제 완화·기술 협력 등 실익 확보.
  • 관세: 대법원 심리 중인 상황을 활용해 협상 속도 조절.

 

장기적으로는 투자 페이싱 전략, 국내 산업 보완책, EU·호주 등과의 다자 협력, 자주적 방위력 강화, 협상 제도화가 필요합니다. 또한 최근 발표된 한·미 원전 파트너십을 확대해 수출·연료주기·표준화 협력까지 넓혀야 합니다.

 


👉 결론:

한국은 미국의 압박을 무조건 수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충분한 협상 카드와 국제적 연대 수단이 있으며, 중요한 것은 조급하지 않고 전략적으로 대응하는 것입니다. 조건부 협력과 주권적 선택으로 압박을 기회로 전환하는 것이야말로 한국이 경제·안보 도전에 대응하면서 주권을 지켜낼 길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sSPFfDlHm8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SKY STOR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