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I와 로봇이 급격히 발전하면서, 농업·제조업·에너지 같은 기초 산업부터 물류·서비스까지 인류의 삶과 일터가 빠르게 재편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트랙터가 농사를 짓고, 로봇 팔이 공장을 지배하며, AI가 전력망을 실시간 조율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입니다. 겉으로 보면 노동에서 해방된 듯하지만, 동시에 대규모 일자리 상실과 지역경제 붕괴, 세대 간 갈등이라는 그늘도 드리우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해법으로 로봇세·기본소득 같은 제안이 나오지만, 혁신 저해 논란과 함께 사회적 합의가 필요합니다.

 

노동이 줄어든 사회에서 더 근본적인 문제는 인간의 정체성입니다. 노동은 단순히 소득을 넘어 자부심·사회적 인정·관계망을 형성하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자동화로 노동이 사라질수록 인간은 의미의 공백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우울·무기력·사회적 고립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소득 실험 결과에서 드러났듯, 일부는 새로운 기술 습득·창업·예술·봉사 등 창의적 활동으로 나아가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노동 없는 사회는 단순한 무기력의 시대가 아니라, 새로운 가치와 정체성을 재설계하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전환기의 해법이 필요합니다.

 

  • 재교육과 평생 학습: 단순 노동이 줄어드는 대신 AI 윤리 감독, 로봇 정비, 데이터 분석 같은 새로운 직업군을 준비해야 합니다.
  • 사회적 안전망: 로봇세와 기본소득을 통해 충격을 완화하고, 최소한의 자유와 도전 기회를 보장해야 합니다.
  • 기업의 책임: 혁신의 과실을 사회와 나누는 구조가 없다면, 기술은 불평등과 저항을 불러올 것입니다.
  • 국제 협력: AI는 국경을 초월하기 때문에 자율 무기·데이터 보호·윤리 규범에 대한 국제 합의가 필수적입니다.
  • 문화와 가치의 전환: 인간의 가치를 ‘노동’이 아닌 창의·돌봄·탐구·공동체에서 찾아야 하며, 철학과 예술이 다시 중심에 서야 합니다.

 

결국 AI와 로봇은 도구일 뿐입니다. 그것이 족쇄가 될지, 해방의 열쇠가 될지는 우리가 어떻게 제도와 문화를 설계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자동화 사회는 피할 수 없는 미래지만, 그 빛과 그늘을 어떻게 조율할지는 인류 스스로의 선택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fcutoRGqci4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SKY STORY

,
반응형

Web1은 읽기, Web2는 읽고 쓰기,

Web3는 ‘읽고, 쓰고, 소유하는 인터넷입니다.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인터넷.
그런데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당신의 데이터, 정말 당신의 것일까요?

검색 기록, 위치 정보, 결제 이력까지—
이 모든 데이터는 지금 이 순간에도
구글, 메타, 아마존 같은 거대 플랫폼의 서버에 저장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인터넷을 사용하지만,
그 안의 자산은 우리가 아닌 누군가의 것입니다.

그런데 지금,
인터넷의 주도권이 다시 사용자에게 돌아오는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바로 웹3(Web3)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0a_f-snB0C4&list=PLMklH0D1sOla6DWL3QazdtIYiT2PAUQku&index=63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SKY STORY

,
반응형

미래의 한국

by netcanis

 

한국의 인구 감소는 매우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늘 그래왔듯 이번에도 해답을 찾을 것이다. 노동 인력의 감소를 보완하기 위해, 로봇과 인공지능(AI)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두 주자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

현재 한국은 전 세계에서 사교육비 지출이 높은 국가 중 하나로, 학부모들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면서 고학력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향후 수십 년 안에는 대다수의 한국인이 고등 교육을 받은 인재가 될 가능성이 높지만, 이는 곧 사회 전반의 인력난과 특정 분야에 인재가 집중되는 현상을 심화시킬 수도 있다. 노동 시장의 불균형 속에서도 고학력화가 진행되는 한편, 필수 산업의 일손 부족 문제는 점차 더 심각해질 것이다.

인구 감소로 인한 인력 부족 문제는 초기에는 외국인 노동자를 유입시켜 해결하려 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로봇과 AI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러한 인력은 점차 기술로 대체될 것이다. 이미 반복적인 단순 작업이나 위험하거나 고된 일자리에는 점차 로봇과 AI 기술이 도입되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추세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러한 도전에 대해 한국 사회가 이를 방관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국은 과거 수많은 도전과제에서 혁신적 해법을 찾아왔던 것처럼 이번에도 인구 감소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반드시 찾아낼 것이라 믿는다.

 

반응형

'생각의 조각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ON MUSiC - Coldplay & Jon Hopkins -  (1) 2024.12.19
진정한 용기  (4) 2024.11.16
인공지능의 학습 한계  (0) 2024.10.10
Breaking Free from Musical Conventions  (0) 2024.10.06
게으른 야망의 딜레마  (0) 2024.10.06
블로그 이미지

SKY STORY

,
반응형

3x3 체크를 위해 아래와 같이 함수를 만들고 플레이어와 AI 둘다 막아보았다.
문제되는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길 바란다.

# 3x3 체크 
def check3x3(self, row, col):
    def check_direction_with_blank(dx, dy):
        scount = 1 # 같은 색상 갯수 
        bcount = 1 # 빈공간 포함 갯수
        r, c = row + dx, col + dy
        while 0 <= r < len(self.board) and 0 <= c < len(self.board[0]) and (self.board[r][c] == self.board[row][col] or self.board[r][c] == 0):
            bcount += 1
            if self.board[r][c] == self.board[row][col]:
                scount += 1
            r += dx
            c += dy
        return scount, bcount

    self.board[row][col] = self.turn_player
    
    count3x3 = 0
    directions = [(0, 1), (1, 0), (1, 1), (-1, 1)]
    for dx, dy in directions:
        sc1, bc1 = check_direction_with_blank( dx,  dy)
        sc2, bc2 = check_direction_with_blank(-dx, -dy)
        scount = sc1 + sc2 - 1
        bcount = bc1 + bc2 - 1
        if scound == 3 and bcound >= 5:
            count3x3 += 1
    self.board[row][col] = 0
    if check3x3 >= 2:
        return True
    return False
    
    
def find_empty_cells(self):
    empty_cells = []
    for row in range(BOARD_SIZE):
        for col in range(BOARD_SIZE):
            if self.board[row][col] == 0:
                if self.check3x3(row, col) == False: # 3x3 체크
                    empty_cells.append((row, col))
    random.shuffle(empty_cells)
    return empty_cells
    
def handle_events(self):
    for event in pygame.event.get():
        if event.type == pygame.QUIT:
            self.game_over = True
        elif event.type == pygame.MOUSEBUTTONDOWN and not self.game_over and self.turn_player == PLAYER:
            x, y = pygame.mouse.get_pos()
            row = int(round((y - MARGIN) / CELL_SIZE))
            col = int(round((x - MARGIN) / CELL_SIZE))
            if 0 <= row < BOARD_SIZE and 0 <= col < BOARD_SIZE and self.board[row][col] == 0:
                if self.check3x3(row, col) == True: # 3x3 체크
                    return

                self.make_move(row, col, self.turn_player)
                
    			(이하 생략)

 
 
 
 
 
 
 
2023.10.27 - [AI,ML, Algorithm] - Gomoku(Five in a Row, Omok) (1/5) - 기본 구현 (minimax, alpha-beta pruning)
2023.10.27 - [AI,ML, Algorithm] - Gomoku(Five in a Row, Omok) (2/5) - 속도 최적화 1차 (minimax 속도 개선)
2023.10.28 - [AI,ML, Algorithm] - Gomoku(Five in a Row, Omok) (3/5) - 속도 최적화 2차 (RANDOM모드 추가)
2023.10.29 - [AI,ML, Algorithm] - Gomoku(Five in a Row, Omok) (4/5) - 훈련 데이터 생성 및 학습
2023.10.29 - [AI,ML, Algorithm] - Gomoku(Five in a Row, Omok) (5/5) - 머신러닝으로 게임 구현
2023.11.03 - [AI,ML, Algorithm] - Gomoku(Five in a Row, Omok) (5/5) - 3x3 체크 추가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SKY STORY

,